맨위로가기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1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은 줄여서 '수능엄경' 또는 '능엄경'이라고 불리는 불교 경전입니다. 10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인도 승려 반랄밀제(般剌蜜帝)가 705년 당나라에서 한역했습니다.
주요 내용:


  • 번뇌로부터 해탈하여 깨달음에 이르는 요점을 설명합니다.
  • 불교 수행 과정에서 나타나는 여러 현상과 어려움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합니다.
  • (권9) 말세 중생이 수행 중 겪는 50가지 어려움의 원인과 종류를 밝힙니다.
  • (권10) 오음(五陰)의 근본을 설명하고, 경전의 공덕과 유통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 불교의 실천적 측면을 강조하며, 다양한 교리 내용을 함축적으로 제시합니다.

다른 명칭:

  • 대불정수능엄경
  • 대불정경
  • 능엄경
  • 수능엄경

한국 불교에 미친 영향:

  • 『금강경(金剛經)』, 『원각경(圓覺經)』,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과 함께 조선시대 스님들의 수행 과정에서 중요한 경전으로 여겨졌습니다.
  • 중국뿐만 아니라 한국 불교에도 큰 영향을 미쳤으며, 널리 독송되었습니다.

판본 및 관련 자료:

  • 목판본: 조선시대에 간행된 다양한 목판본이 존재합니다. (예: 1401년 판본, 1488년 무량사 판본, 1635년 용장사 판본)
  • 언해본: 한글로 번역된 언해본도 존재하며, 세조 때 간경도감에서 간행된 을해자본(乙亥字本)이 대표적입니다. (보물 제760호, 제1520호)
  • 주석서: 조선 전기에 간행된 주석서인 『능엄경회해(楞嚴經會解)』는 보물 제1939호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 문화재: 여러 권이 유형문화유산 및 보물 등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1:

  • 전체 10권 중 첫 번째 권입니다.
  • 다양한 기관 (국립고궁박물관, 성암고서박물관 등)에 소장되어 있으며, 보물로 지정된 경우도 있습니다.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1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대체 이미지 남성-ko.svg
이름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1
영문 이름(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 卷1)
유형보물
지정 번호1520
지정일2007년 7월 13일
소재지서울특별시 종로구 효자로 12, 국립고궁박물관 (세종로,국립고궁박물관)
시대조선시대
소유자김민영
참고 사항세로 38.2cm × 가로 25cm
수량1권 1책
문화재청 ID12,1520000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